1. 영어학습 자료로서의 TED영상
TED영상은 각 분야에서 인정받는 스피커들이 20분 내외의 시간 동안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는 영상이다. 전문 분야에서 첨단을 달리는 전문가들인 만큼 강연의 내용과 질이 보장되며 다양한 분야의 카테고리의 지식을 전달한다는 측면에서 학습자들이 관심 있는 분야의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영어 학습 자료로서 TED영상이 갖는 의의는 첫째, 영어 스피치의 올바른 모델이 되는 언어를 구사한다는 점이다. 강연자들이 사용하는 어휘나 문장들은 공식적인 자리에서 발표를 할 때 자주 쓰이는 표현들일 뿐만 아니라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에 맞는 억양과 강세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좋은 교육자료이다. 둘째, 국제어로서의 다양한 스타일의 영어를 접할 수 있다. 영어는 비단 영미권 국가에서만 쓰는 언어가 아닌 Lingua franca(국제어)이기 때문에 강연자의 국적에 따라서 다양한 억양과 발음 또한 익숙해 지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TED강연은 자막과 대본까지 제공되는 영상이 많기 때문에 잘 듣지 못하였더라도 대본을 보면서 몰랐던 어휘와 표현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
2. TED강연을 활용한 Dictogloss교수법 기반 영어 협동학습 수업설계
(1) Dictogloss교수법
Dictogloss교수법은 듣기와 쓰기를 결합한 학습 방법이다. 학습하기로 선정한 듣기 자료를 반복적으로 청취하며 들은 내용을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그 과정에서 학습자들끼리 자신이 이해한 정보를 공유하며 협동학습이 이루어진다. 이 방법은 특히 정확한 작문을 위해 필요한 어법이나 문법 지식을 제대로 활용해 보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문법 중심의 수업이 될 수 있으며, 교사의 수업 설계에 따라서 문법 중심이 아닌 듣기 활동 중심의 수업으로도 진행할 수 있다.
(2) Dictogloss교수법과 Jigsaw협동학습을 활용한 수업설계
Jigsaw협동학습은 5명 내외의 학생들로 하나의 조를 이루어서 각 조원들이 서로 다르게 맡게 되는 역할을 부여한 다음, 역할 수행을 조안에서 수행하고 난 뒤, 조원들이 뿔뿔이 흩어져서 각 조의 같은 역할을 맡은 그룹을 새롭게 형성하여(전문가그룹) 해야 할 과제나 역할에 대한 팁을 얻고 다시 기존의 조로 복귀하여 전문가 그룹으로부터 받은 정보를 공유하여 각 모든 학습자가 주요 내용을 잘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이다.
이 활동의 형식을 Dictogloss교수법에 접목하여 수업을 설계해 보았다.
a. 배경지식 활성화 및 핵심 어휘 학습
먼저 듣기 활동을 하기 전에 듣기 자료에서 다루는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배경지식을 활성화 시키는 과정을 사전에 진행해 볼 수 있다. 배경 지식은 혼자 생각해 내기 보다는 조를 꾸려서 조원들과 함께 서로 듣기 소재에 대해 아는 지식을 함께 공유해 보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 다음에는 핵심 어휘를 몇개 골라 미리 소개하도록 한다. 핵심 어휘는 학생들에게 생소할 수 있는 전문 분야의 용어나, 고유명사를 위주로 알려주는것이 좋다고 본다. 그 외에 사용 빈도가 높은 단어들은 학생들이 반복적으로 청취 함으로써 그 뜻이 무엇인지 듣기 내용의 맥락을 통해서나 또는 조원들의 도움으로 의미파악을 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단어를 장기기억으로 잘 저장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모르는 단어의 뜻을 계속 추론해 보는 과정을 미리 진행 함으로써 알게된 단어의 뜻을 더 잘 기억할것이다!)
b. 조 편성 및 조원들의 역할 배정
조 편성은 서로 다른 수준의 학습자들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동료학습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Jigsaw활동을 통해서 비슷한 수준의 학생들과 함께 모이도록 하는 시간을 갖게 될 것이어서 되도록 서로 다른 수준의 학습자들끼리 배우고 가르칠 수 있도록 한다. 조원들의 역할은 다음과 같이 배정했다. Basic - 단어 듣기 / Intermediate1 - 핵심 표현 받아 쓰기 / Intermediate2 - 이해한 문장을 우리말로 적어보기 / Advanced - 정확한 문장으로 받아쓰기
c. 홈 그룹에서의 듣기활동 * 3번
서로 다른 수준의 학습자가 모인 홈 그룹에서 각자 맡게 된 역할에 충실하여 최대한 순서대로 자신이 들었던 단어나 표현, 문장들을 적어보는 개별 과제의 시간을 갖는다. 구체적인 단계로는 1회차때에는 먼저 듣고 최대한 써보도록 하고, 2회차 듣기를 진행하기 전 잠깐동안 조원들과 함께 무슨 내용을 들었는지에 대해 토론하도록 한다. 2회차 듣기에는 함께 토론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시 듣기를 들려주고 자신이 맡은 과제를 하도록 한다. 마지막 3회차 듣기를 하기 전에도 2회차 듣기 후에 잠시 토론의 과정을 거친 후 듣기를 마무리 한다.
d. 전문가 그룹으로의 만남과 듣기 활동 * 2번
홈 그룹에서의 듣기활동 3회를 하면서 적은 자신만의 노트를 갖고 이제 각 조별로 같은 수준의 학습자들이 모여서 서로 이해한 내용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하며 노트에 적은 내용들을 공유하면서 잘 듣지 못했던 부분에 대한 힌트를 얻는다. 그 다음 듣기 활동을 전문가 그룹에서도 2회 진행한다. 듣기 활동은 c에서 언급한 듣기활동처럼 잠깐동안의 토론 활동 후에 다시 듣기를 반복한다.
e. 홈 그룹 복귀 및 듣기 대본 완성
전문가 그룹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종합하여 풍부해진 각 조원들의 노트를 바탕으로 함께 듣기 내용의 최종본을 완성하도록 한다. 들었던 내용의 순서를 배열해 보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적어 놓은 단어나 표현과 이해한 우리말 뜻을 공유해 보면서 최대한 정확한 영어 문장을 구상하여 적는 협동학습을 진행한다. 여기서 더 학습할 시간이 남아있다면 최종적으로 1회 듣기를 더 들려주어 완성도 있는 듣기 대본을 작성하도록 할 수 있다.
f. 조별로 완성한 대본을 학급과 공유 및 교사 피드백
완성한 대본을 사진을 찍어 스크린에 공유하면서 잘 쓴 표현의 경우 칭찬하고 그 표현에 쓰인 주요 문법 및 어법 내용을 설명하며 교사의 피드백을 준다. 만약 오류가 발견되었다면 그 오류는 어떠한 이유로 비롯된 오류인지를 설명하며 이를 바로 고치기 위해 필요한 문법적 지식을 알려주고 정확한 문장 작성 방법을 학습하도록 한다.
3. 학습 활동의 결과
Dictogloss교수법을 활용한 해 보았던 수업은 고등학교 2학년 듣기 수업이었다. 매일 문제를 풀고 오답노트를 하고 받아쓰기를 하는 것으로는 수업에 흥미와 도전감을 불어넣기에는 부족했기 때문에 좀 특별한 수업을 구성하고자 TED영상을 활용하기로 했었다.
진행하는데 있어 학생들이 처음 접해보는 듣기 활동으로 인해 어떤 학생들은 눈빛으로 나에게 이렇게 이야기했다. '도대체 이 반복적 듣기를 왜 하는 것이며 선생님이 수업을 위해 준비하는 것이 무엇인가?' 학생들에게 학습의 취지와 효과에 대해 설명할 시간은 없었다. 이런 생각을 하는 학생은 소수였으며 대부분 열심히 참여하였다.
친구들과 함께 토론하는 과정이 많기 때문에 동료로 부터 얻게 되는 정보가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분명 학습 활동을 통해 깨달았을 것이다. 수업의 끝 무렵에는 수없이 많이 들은 듣기 스크립트가 머릿속에 맴돌게 되었을 것이다. 또한 많이 들었지만 특정 문법이나 표현을 알지 못해 정확한 이해가 어려웠던 부분은 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알게 되면서 좀 더 기억에 또렷이 남을 것이다.
'영어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도쿠를 활용한 영단어 복습 및 작문활동 (0) | 2025.04.06 |
---|---|
[영어원서] A Long Walk to Water를 활용한 영어 수행평가 설계 (0) | 2025.04.06 |
학기 초 자기소개 영어 말하기 활동 (0) | 2025.03.30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본문의 수준별 협동학습 수업 (1) | 2025.03.23 |
영어 수업에서의 미술과 음악 교과와의 융합수업 설계 (0) | 2025.03.15 |
쿼터(동전)를활용 한 미국 문화 학습 (0) | 2025.03.13 |
팝송을 활용한 실시간 영어 받아쓰기 듣기활동 (0) | 2025.03.11 |
영어 원서를 활용한 중학교 영어독서논술 활동 (2)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