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어권 국가의 공휴일을 통한 문화 학습
영어권 국가들이 갖고 있는 서로다른 공휴일의 종류와 그 유래를 찾아보는 과정을 통해서 각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다. 우리나라의 공휴일을 생각해 본다면 그 뜻과 의미가 나라와 국민에게 있어서 어떠한 존재인지 더 쉽게 다가올 것이다. 예를 들면 3.1절, 광복절, 어린이날 등과 같은 공휴일은 잊어서는 안될 중요한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 처럼 말이다. 이와같이 영어권 국가들의 공휴일은 단순한 휴일이 아닌 그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역사와 문화적 정체성을 드러낸다. 미국과 캐나다의 경우 추수감사절(Thanksgiving)은 공동체와 자연을 향한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는 전통을 기리는 공휴일이며 빼놓을 수 없다.
언어 또한 문화의 한 분야이고 문화를 반영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나라들의 공휴일의 종류와 그 유래를 학습해 보며 문화에 대한 이해 외에도 언어 학습에도 관심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는 수업설계를 소개한다.
2. 갤러리 워크란
학생들이 만든 프로젝트 결과물을 갤러리에 걸린 작품들처럼 교실에 전시해 두고 서로의 완성물을 관찰하고 피드백을 주는 형식의 활동이다.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협동학습의 과정과, 전시 관람의 활동에서 일어나는 비판적 사고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교수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다른 팀의 작품을 통해 새로운 정보나 통찰을 얻도록 하며 배움이 일어나도록 한다. 영어권 국가의 공휴일을 통한 문화학습에 갤러리 워크 형식의 교수전략을 접목시켜 학생들이 조를 이루어 국가선정, 공휴일선정, 프로젝트 결과물인 포스터 제작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학습자가 자율성과 주도성을 발휘하여 활발한 학습의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갤러리 워크를 활용한 영어권 문화 학습의 과정
(1) 영어권 국가 및 공휴일 선택
학생들이 알고 있는 영어권 국가들을 생각해 보도록 한다. 교사는 학생들의 답변을 판서한다. 국가 후보로서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가 있다. 총 5개 나라를 기준으로 하여 학생들이 원하는 나라를 선택하도록 한다. (자율성 부여) 만약 한 나라로 많은 학생들이 선택한다 하더라도 공휴일의 종류를 달리 하면 겹치지 않게 되니 최대한 탐구하고자 하는 나라를 선택하도록 한다.
그 후 각 나라의 공휴일을 안내한다. 학생들이 직접 찾아볼 수 있지만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그 나라의 중심 문화를 드러내기에 임팩트가 부족한 공휴일을 선택할 경우 자료가 많이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먼저 교사가 정리해 놓은 각나라의 주요 공휴일의 종류를 보여주도록 한다.
1. 미국 - New Year's Day, Valentine's Day, Saint Patrick's Day, Independence Day, Thanksgivingday, Black Friday, Christmas
2. 영국 - New Year's Day, Good Friday, Easter Monday, St. George's Day, Remembrance Day, Christmas & Boxing Day.
3. 캐나다 - New Year's Day, Good Friday, Victoria Day, Canada Day, Labour Day, Thanksgiving Day, Remembrance Day, Christmas & Boxing Day.
4. 호주 - New Year's Day, Australia Day, Easter, Anzac Day, Labour Day, King's Birthday, Christmas & Boxing day.
5. 뉴질랜드 - New Year's Day, Waitangi Day, Easter, King's Birthday, Labour Day, Christmas & Boxing day.
(2) 자료 조사
원하는 국가와 공휴일을 선택한 모둠을 구성하여 함께 포스터에 들어갈 자료를 찾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포스터에 꼭 들어가야 할 필수 자료를 제시해 주어 짜임새 있는 결과물이 되도록 지도한다. 다음은 공휴일 조사 중에 활용할 활동지의 예시이다. 아래 항목들을 조별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활용하여 작성하도록 한다.
Name of the Public Holiday | |
Date | |
Origin | |
Activities/Celebrations | |
Special Food |
활동지의 내용을 다 작성하였으면 교사가 짧게 조사한 내용을 확인한다. 포스터 제작은 한글이 아닌 영어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작문의 과정이 필요하다. 만약 작문이 잘못되었다면 이 단계에서 교사가 학생들의 작문 오류를 교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피드백을 제공한다. 포스터에 잘못된 표현이 쓰이게 되면 좋은 model writing으로서의 역할을 못하게 되며 갤러리 워크 시간을 통해 다른 조의 작품을 읽게될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공휴일 포스터 제작 & 갤러리 워크 활동
활동지 피드백 제공 및 수정의 과정이 끝난다면 각 모둠에게 포스터 제작에 필요한 전지, 싸인펜, 색연필 등을 배부한다. 조사한 내용을 영어로 적도록 한다. 각 나라의 국기나 그 외에 나라를 상징하는 꽃이나 동물들, 유명인사들의 얼굴 등 또한 자유롭게 그릴 수 있도록 독려한다. 완성된 포스터는 교실 벽에 부착하여 게시하도록 한다.
갤러리 워크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모든 학생들에게 새로운 활동지를 부여한다. 의미없이 구경하는 시간이 되지 않고 다른 조의 작품을 감상할 때에 느낀 바, 새롭게 알게된 사실을 적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America | |
U.K. | |
Canada | |
Australia | |
New Zealand |
자신의 조를 제외한 나머지 조들의 작품을 보고 새롭게 알게된 사실이나, 새롭게 더 탐구하고싶어진 부분이 있다면 적도록 한다. 자신만의 간단한 학습 노트라고 보면 된다.
(4) 포스터 발표
각 조별로 만든 포스터를 설명하는 발표의 시간을 갖는다. 발표는 제작을 하고 바로 발표를 할 수도 있지만 먼저 학생들에게 갤러리 워크 활동을 하게 한 다음 감상했던 학생들이 궁금했던 질문을 하며 이에 대한 답변을 받을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하는것이 좀 더 활발한 교실 내 소통을 촉진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4. 활동의 주안점 및 팁
1. 학생들이 지닌 자신만의 재능을 잘 활용하도록 독려한다
학생들이 직접 원하는 나라를 선택하도록 자율성을 부여하였고 포스터 제작의 활동에서도 직접 손으로 쓰고 그려야 하는 활동이다. 각자의 재능에 맞추어서 역할 분담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팀의 구성원들의 능력이 포스터 곳곳에 잘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2. 과정평가의 자료로 쓰이는 갤러리 워크 활동지
갤러리 워크 감상 시간을 헛되이 보내게 하지 않기 위해서 활동지를 적극 활용한다. 활동 시작 전에 교사가 사전에 활동지의 내용이 추후 학기말 과목별 세부능력 특기사항 기록에 참고자료로 쓰인다는 공지를 하게 되면 좀 더 진중한 태도로 감상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3. 갤러리 워크의 동선을 정해둔다
동선이 없는 갤러리워크는 자칫 잘못하면 한 쪽 포스터에 많은 인원이 같은 시간에 몰려 원활한 감상이 어려울 수 있다. 모둠 별로 감상 동선을 정해주게 되면 이러한 혼란을 막을 수 있다.
'영어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한 주제의 영작 활동(Random Strip Writing) (0) | 2025.04.21 |
---|---|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의 영어 지문독해 수업설계 (0) | 2025.04.18 |
Recipe Poem을 활용한 쓰기 수행평가 설계 (0) | 2025.04.12 |
수능 영어를 위한 영문법 기초학습 설계 (Part 2) (0) | 2025.04.11 |
수능 영어를 위한 영문법 기초 학습 설계 (Part 1) (0) | 2025.04.10 |
짝의 단어 맞추기 게임 활동 (Word Battleship Game) (0) | 2025.04.08 |
워드클라우드를 활용한 영어지문 독해 전 학습활동 (0) | 2025.04.07 |
스도쿠를 활용한 영단어 복습 및 작문활동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