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로다른 수준의 학습자들을 위한 수업
영어 교과목은 한 교실 안에서의 학생들의 학습 수준의 편차가 큰 과목이다. 지문을 수월하게 해석하는 학생들이 있는 반면 쉬운 단어들 조차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뒤섞여있다. 수업을 따라가기 힘든 학생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영어 학습에 자신감과 흥미를 잃고 결국 학업을 포기하기 십상이다. 이러한 학생들이 생기기 전 모두 함께 참여하도록 하는 수업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교사 단독으로 모든 학생들의 필요를 채워주기란 쉽지 않다. 이를 위해서 한 교실의 친구들과 함께 하며 만들어나가는 수업을 활용해 볼 수 있다. 배움의 속도가 느린 학생들이 자신의 노력이 모둠에 도움이 되어 효능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로 다른 수준의 학습자들이 자신의 수준에 맞는 과업을 자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배움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교수설계 모형인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에 착안하여 영어 독해 수업에 적합하도록 수업을 설계해 보았다.
2.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 (Group Investigation)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은 한 학급의 학생들이 공통된 주제에 대해 함께 탐구할 주제를 자율적으로 정하고, 그 다음 학급 내 인원들이 소그룹을 형성해 그룹 내에서 자료를 조사하고, 토의하며 발표하는 과정을 통해 배움이 일어나도록 하는 학습 모형이다.
(1)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 수업의 6단계 절차
- 주제 선택: 학습할 주제를 교사와 학생이 함께 논의하여 결정한다
- 소주제 생성 및 조 편성: 선정한 주제를 체계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필요한 소주제들을 나열해 보고 각각의 소주제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끼리 모여서 조를 편성하도록 한다.
- 탐구 계획 수립: 각 조가 맡게된 소주제를 바탕으로 조별로 자율적인 자료조사 계획, 역할분담 등을 정한다.
- 조사활동: 탐구계획에서 수립한 조사활동을 각 모둠원들이 책임감있게 수행한다.
- 토의: 소그룹에서 먼저 역할을 나누어 조사한 자료를 그룹 내에서 함께 토론하며, 그 다음 이것을 확장시켜 각 조별 대표가 나와 전체 학급에 조사한 바를 공유하며 학급 토론을 이어간다.
- 평가: 스스로의 활동을 회고해 보는 자기평가와, 함께한 동료들간의 협력적 태도에 대한 평가, 모든 활동을 모니터링한 교사의 평가를 진행한다.
(2)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의 특징
'자율적'이라는 말에 맞게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주제 선정, 소그룹 형성, 과제 탐구 계획, 발표까지 이루어지는 활동인 것이 주된 특징이다. 따라서 학생은 수동적인 학습자가 아닌 주도적인 역할을 맡아서 학습을 이끌어 나가야 하며, 조사자로서의 역할과 발표자로서의 역할을 맡아 관련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여기서 교사는 단순한 방관자가 아닌 학생들의 활발한 활동을 통해 배움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필요시 도움을 주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맡게 된다.
3.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한 영어 독해 수업의 흐름
영어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을 위해서는 먼저 어휘에 대한 학습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단어 학습 게임을 첫번째 활동으로 시작한다. 즐겁게 학습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 또한 중요한 목표이기에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그 다음 독해활동은 모둠별로 진행한다. 학생들에게 '선생님처럼 발표하기' 등의 과제를 부여하여 수업시간에 활발하게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수업의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과정을 모둠 활동으로 진행한다.
(1) 단어 활동 - 칠판에 단어 적기 게임
한 단원 내에서 학생들이 독해 전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단어의 리스트를 대략 40-50개 정도 추려서 만들어 배부한다. 그 다음 일정 시간을 주고 각 모둠에서 자신의 수준에 맞는 단어들을 외울 시간을 준다. 예를 들어 총 5명의 그룹이라면 수준에 따라서 각각 10개씩 단어를 맡아서 그 단어의 스펠링과 뜻을 외우도록 하는 것이다. 10개를 외울 시간은 대략 10분정도 빠듯하게 주어서 최대한 집중하여 외울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교사가 미리 칠판에 모둠의 수만큼 구획을 나누어 놓고, 모둠별로 외운 단어를 한명씩 나와서 쓰도록 한다. 이때 쓸수 있는 시간은 한명당 2분 정도로 해서 최대 10분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설계한다.
(2) 모둠 활동 - 모둠별로 해석할 지문을 문장으로 나눠맡기
각 모둠이 담당할 문단을 나누어 주고 모둠 원은 그 문단 내에 각자 담당할 문장을 선택하도록 한다. 학생들 개별적으로 맡은 문장을 해석하고 우리말 뜻을 적도록 한다. 각자의 문장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문장을 소리내어 읽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생들 각자 맡은 문장은 다르지만 모둠으로 구성한 점을 십분 활용하기 위해서 모르는 부분이 있을 경우 적극적으로 서로를 도울 수 있는 동료학습의 환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3) 독해 활동지 - 맡은 독해 부분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기
교사는 지문의 장르(genre)에 따라서 달라지는 글의 목적을 파악한 다음, 학생들이 글의 논리를 파악해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도록 돕는 독해 활동지를 구상한다. 활동지는 각 조가 맡은 문단의 내용을 정리할수 있는 활동지로 구성하여 각 조별로 수행해야 할 과업이 다르도록 한다. 만약 글의 장르가 essay처럼 논리적인 구조가 명확한 글이라면 각 조별로 맡게된 문단이 전체 글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학급 전체가 함께 토론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여 소그룹협동에 이어서 그룹별 협동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학습지를 설계하도록 한다.
(4) 조별 발표 - 조별로 수행한 독해 활동지를 완성
학생 모두에게 독해 전체 지문의 활동지는 다 배부가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학급 내 조가 5개 조이며 5개의 단락으로 구성된 글을 학습하는 상황이라면, 총 5개 파트의 학습지를 모든 학생이 가지고 있어야 한다. 소그룹으로 함께 공부할 때에는 자신의 조가 맡아서 발표하기로 한 학습지 하나만 완성하면 된다. (3)에서 각 조별로 독해 활동지를 완성했다면 각 조의 대표 발표자가 나와서 조에서 논의한 내용(학습지를 완성한 내용)을 발표하여 다른 조의 학생들 또한 관련 내용을 정리하며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5) 평가 - 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사평가
평가는 교사가 단독으로 학생들을 평가하는 형식 외에도 스스로 자신이 조에서 한 역할, 그외에 학급 차원의 토의에서 한 역할등을 생각해 보며 자신의 내면에서 일어난 배움과 깨달음을 적도록 한다. 동료평가의 경우 동료들로부터 받은 도움이나 각 동료가 지닌 장점 등에 초점을 두며 평가하도록 한다. 도움을 고마워할 줄 아는 태도와, 상대방의 장점을 보고 자신의 것으로도 체화하려는 노력을 하게 되는 것의 중요성을 알도록 하는 의도가 있다. 교사 평가는 모든 과정을 모니터링하며 학생들의 참여도와 변화를 파악하며 평가한다.
'영어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휴일을 통해 배우는 영어권 문화(Gallery Walk) (0) | 2025.04.22 |
---|---|
다양한 주제의 영작 활동(Random Strip Writing) (0) | 2025.04.21 |
Recipe Poem을 활용한 쓰기 수행평가 설계 (0) | 2025.04.12 |
수능 영어를 위한 영문법 기초학습 설계 (Part 2) (0) | 2025.04.11 |
수능 영어를 위한 영문법 기초 학습 설계 (Part 1) (0) | 2025.04.10 |
짝의 단어 맞추기 게임 활동 (Word Battleship Game) (0) | 2025.04.08 |
워드클라우드를 활용한 영어지문 독해 전 학습활동 (0) | 2025.04.07 |
스도쿠를 활용한 영단어 복습 및 작문활동 (0) | 2025.04.06 |